2025~26년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, 우리사회의 노인들은 빈곤의 아이콘이 될 수 있습니다. 지난 반세기 동안 복지를 외면하고 오로지 경제성장에만 매진한 암울한 결과에 해당합니다. 유럽을 비롯한 복지선진국들은 GDP대비 복지비중 투자가 25%를 상회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도 2045년까지 GDP대비 45% 이상을 복지 부문에 투자하겠다고 계획하고 있으나, 현실은 9~10% 수준입니다. 선진국들은 우리 사회를 여전히 극심한 양극화와 불안정한 경제가 지속되고 있는 정글과 같은 사회로 보고 있습니다. 이 정글과 같은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80~90년대와 같은 높은 경제성장률보다는 90%의 평범한 사람들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분배와 성장이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. 평범한 시민들의 주거, 의료, 교육 등 양질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, 누구나 빈곤, 실업, 질병, 노후 등을 걱정하지 않고 기본 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들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. 이것이 곧 사회복지실천이고, 바람직한 한국사회로 가는 올 바른 길입니다.
2025~26년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, 우리사회의 노인들은 빈곤의 아이콘이 될 수 있습니다. 지난 반세기 동안 복지를 외면하고 오로지 경제성장에만 매진한 암울한 결과에 해당합니다. 유럽을 비롯한 복지선진국들은 GDP대비 복지비중 투자가 25%를 상회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도 2045년까지 GDP대비 45% 이상을 복지 부문에 투자하겠다고 계획하고 있으나, 현실은 9~10% 수준입니다. 선진국들은 우리 사회를 여전히 극심한 양극화와 불안정한 경제가 지속되고 있는 정글과 같은 사회로 보고 있습니다. 이 정글과 같은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80~90년대와 같은 높은 경제성장률보다는 90%의 평범한 사람들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분배와 성장이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. 평범한 시민들의 주거, 의료, 교육 등 양질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, 누구나 빈곤, 실업, 질병, 노후 등을 걱정하지 않고 기본 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들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. 이것이 곧 사회복지실천이고, 바람직한 한국사회로 가는 올 바른 길입니다.